1. 사무관리의 의의
1) 사무의 정의
∙ 관공서나 회사 등의 사무실에서 이루어지는 문서의 생산, 유통, 보존을 위주로 하는 서기적인 일(Paper Work)
2) 사무관리의 기본적 기능
∙ 사무의 결합 기능
∙ 사무의 정보처리 기능
∙ 사무의 보조 및 촉진 기능
3) 사무관리의 원칙
∙ 용이성
∙ 정확성
∙ 신속성
∙ 경제성
4) 사무의 분류
∙ 오피스의 기본기능에 따라 사무를 분류
- 의사결정
- 커뮤니케이션
- 데이터 처리(문서 처리)
∙ 사무를 기능상으로 분류
- 단순사무기능
- 관리기능
- 서비스기능
5) 관리의 정의 및 기능
∙ 관리란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하나의 수단으로서 ‘한 조직이 공통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인간, 기계, 재료, 방법 등을 조정하는 모든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음
∙ 계획화
∙ 조직화
∙ 통제화
6) 사무의 구성요소
∙ 사무문서(事務文書)
∙ 사무기기(事務器機)
∙ 사무조직(事務組織)
∙ 사무제도(事務制度)
∙ 사무실(事務室)
∙ 사무원(事務員)
7) 현대 사무관리의 3S 방법
∙ 표준화(Standardization)
∙ 간소화(Simplification)
∙ 전문화(Specialization)
- 개인적, 집단적, 기계적 전문화
8) 한국의 사무관리가 발전하지 못한 이유
∙ 사무의 기계화가 늦었음
∙ 사무라는 것은 하위 직원들이 하는 것으로 여겨짐
∙ 사무를 상식만 있으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음
2. 사무관리의 운용 체계
1) 사무관리의 목표 : 사무작업의 능률 향상에 있음
2) 사무관리의 기능
∙ 기록 및 인쇄(Writing)
∙ 면담(Interviewing)
∙ 분류와 정리(Classifying of filing)
3) 정보관리의 개념 및 기능
∙ 개념
- 정보의 생산과 수집에서 검색 및 제공에 이르는 매우 광범위한 것
- 조직의 목적 달성에 이바지 될 수 있도록 정보를 수집, 가공, 저장하고 활용 관리하는 것
- 기업경영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적시에 적절한 형태로 가공 처리하여 제공하기 위한 의도적 노력임
- 정보를 의미 있는 자료가 되도록 수집 가공하는 것
∙ 기능
- 정보 계획
- 정보 통제
- 정보 처리
- 정보의 보관, 제공
4) 정보 관리 체계
∙ 경영과 사무
- 사무는 자료의 수집, 작성을 통하여 경영 조직 목적의 달성에 필 요한 정보를 생산하고, 그 정보를 적시에 필요한 곳에 신속히 보 관․보존하는 기능을 가짐
- 경영은 의사결정의 흐름이며 의사결정에는 정보가 필수적임. 정 보를 취급하고 정보의 기록과 조정 및 운반의 수단이 곧 사무이기 때문에 경영과 사무는 밀접한 관계를 지님
[2-4강] 사무작업 형태 (0) | 2019.07.03 |
---|---|
[2-3강] 자료관리 운용 (0) | 2019.07.03 |
[2-2강] 사무관리 표준화 (0) | 2019.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