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내용
☞ 정보(데이터) 통신 기기
학습목표
☞ 단말장치와 통신제어장치에 대해 이해 할 수 있다.
신호변환장치와 다중화기에 대해 이해 할 수 있다. 학습내용
1. 정보(데이터) 통신 시스템 구조도
2. 단말 장치(터미널)
(1) 단말 장치(DTE, Data Terminal Equipment)
1) 통신 시스템과 사용자의 접점에 위치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
2) 전화기, FAX, 휴대폰, 리모콘, 컴퓨터 등 다양함
(2) 단말 장치의 기능
1) 입 ․ 출력 기능 : 입력된 데이터를 2진 신호로 변환하고(입력), 처리된 데이터를 문자, 숫자,
영상의 형태로 변환(출력)하는 기능
2) 전송 제어 기능 : 통신망에 접속된 컴퓨터와 단말 장치 간에 효율적이고 원활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제어기능과 방식을 총칭
① 입 ․ 출력 제어 기능
② 회선 제어 기능
• 송 ․ 수신 제어 기능
• 에러 제어 기능
③ 회선 접속 기능
3) 기억 기능 : 입력된 데이터나 출력된 데이터를 잠시 보관하는 기능
(2) 단말 장치의 분류
1) 일반적인 분류
① 범용 단말 장치
• 표시 장치 : 모니터
• 광학 인식 장치 : OMR(광학 마크 판독기), OCR(광학 문자 판독기), MICR(마그네틱 잉크 문자 판독기)
• 인쇄 장치 : 프린터
• 천공 장치 : 종이 카드, 종이 테이프
• 자기 기억 장치 :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등
• 그래픽 장치 : 스캐너, 디지타이저
② 전용 단말 장치 : 은행용, 의료정보용, 증권 ․ 주가용, 생산 관리용, POS용, 교통용, 교육용 단말기 등
③ 복합 단말 장치
• 지능(Intelligent)형 단말기
• 리모트 배치 터미널(Remote Batch Terminal) : 원거리에서 일괄 처리하는 시스템 터미널
2) 프로그램 내장 유무에 따른 분류
① 지능형(Intelligent)
•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어 단독으로 일정 수준의 업무 처리 가능
• 스마트(Smart) 단말 장치라고도 함
② 비지능형(Non-Intelligent)
• 단독으로 업무 처리 능력이 없으므로 중앙 컴퓨터에 의존
• 더미(Dummy) 단말 장치라고도 함
3. 통신 제어 장치
(1) 통신 제어 장치(CCU, Communication Control Unit)
1) 데이터 전송 회선과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
2) 데이터 전송에 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
(2) 통신 제어 장치의 기능
1) 통신회선을 통하여 송 ․ 수신되는 자료를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감시함
2) 전송 제어 : 통신의 시작과 종료 제어, 송신권 제어, 교환, 분기
① 다중 접속 제어 : 하나의 통신 회선을 여러 단말 장치가 공유하는 경우 전송 제어
② 통신 방식 제어 :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등의 통신 방식을 결정
③ 교환 접속 제어 : 회선의 설정과 해제
3) 동기 제어 : 통신회선의 전송속도와 중앙처리장치의 처리속도 사이에서 조정을 수행
4) 오류 제어 : 데이터 전송 중 오류 검출 및 정정을 수행
5) 흐름 제어, 응답 제어
6) 제어 정보의 식별, 기밀 보호, 관리 기능
(3) 통신 제어 장치의 종류
1) 통신 제어 장치(CCU, Communication Control Unit) - 데이터 전송회선과 컴퓨터와의 전기적 결합과 전송문자를 조립, 분해하는 장치
2) 통신 제어 처리 장치(CCP, Communication Control Processor)
- 문자 외에 메시지의 조립과 분해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3) 전처리기(FEP, Front End Processor)
① 호스트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 고속 통신 회선으로 설치
② 통신 회선 및 단말기 제어, 메시지 조립과 분해, 전송 메시지 검사 등을 수행
③ 경쟁(Contention) 방식, 순서적 할당 방식, 시간 분할 방식으로 동작
④ 전단제어장치라고도 함
(4) 통신 제어 장치의 분류
1) 비트 버퍼(Bit Buffer) 방식 : 비트 단위의 처리
2) 문자 버퍼(Character Buffer) 방식 : 비트를 모아 문자로 조립하고 문자를 다시 비트로 분해하는 기능
3) 블록 버퍼(Block Buffer) 방식 : 문자를 블록 단위로 조립 분해하는 기능
4) 메시지 버퍼(Message Buffer) 방식
① 블록을 메시지 형태로 조립 분해하는 기능
② 경제적으로 다소 비싸나 컴퓨터에 걸리는 부하가 가장 적은 방식
4. 신호 변환 장치
(1) 신호 변환 장치(DCE, Data Circuit Equipment)
1) 단말장치와 통신 제어 장치를 통신 회선에 접속하는 장치
2) 컴퓨터나 단말 장치의 데이터를 통신 회선에 적합한 신호로 변경하거나, 그 반대의 기능을 수행
3)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라고도 함
(2) 전화기
1) 아날로그 데이터(음성)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장치
2) 전화기의 구성
① 송화기 : 음성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장치
② 수화기 : 전기적 에너지를 다시 음성 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장치
(3) 모뎀(MODEM)
1) 디지털 신호를 음성대역(0.3~3.4㎑)내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변조)한 후 음성 전송용으로 설계된
전송로에 송신한다든지 반대로 전송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복조) 하는 장치
2) 펄스를 전송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
3) 공중전화통신망에 컴퓨터나 단말기를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
4) 모뎀의 기능
① 변 ․ 복조 기능
② 자동 응답 기능
③ Loop Test 기능
④ 자동 호출 기능
⑤ 데이터 통신 및 속도 제어
5) 널(Null) 모뎀 : 터미널과 컴퓨터 사이에 RS-232C를 이용하여 직접 접속하는 모뎀
(4) 코덱(CODEC)
1) 아날로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 형태로 변환시키고 또 이러한 디지털 형태를 원래의
아날로그 데이터로 복구시키는 장치
2) 펄스 코드 변조(PCM)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변환
(5) DSU(Digital Service Unit)
1) 전송회선 양단의 데이터 회선 종단장치로서 단말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전송에
적합한 신호형식으로 변화하거나 또는 그 반대의 동작을 하는 장치
2) 디지털 전송로에서 단극성(유니폴라) 신호를 쌍극성(바이폴라) 신호로 변환이 가능
3)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4) DTE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회선망에 적합한 신호형식으로 변환하는 장치
5. DTE/DCE 접속 규격
(1) 접속 규격 표준안
1) ITU-T(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① V 시리즈
• 공중전화 교환망(PSTN)을 통한 DTE/DCE 접속 규격
• V.24 : 기능적, 절차적 조건에 대한 규정
• V.28 : 전기적 조건에 대한 규정
② X 시리즈
• 공중 데이터 교환망(PSDN)을 통한 DTE/DCE 접속 규격
•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개발된 신규 터미널 인터페이스
• X.20 : 비동기식 전송을 위한 DTE/DCE 접속 규격
• X.21 : 동기식 전송을 위한 DTE/DCE 접속 규격
• X.25 : 패킷 전송을 위한 DTE/DCE 접속 규격
2) EIA(전자공업협회, 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① RS-232C
• 공중전화 교환망(PSTN)을 통한 DTE/DCE 접속 규격
• ISO2110, V.24, V.28을 사용하는 접속 규격
② RS-449 : 고속 데이터 통신을 위한 DTE/DCE 접속 규격
3) ISO(국제표준화기구,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① ISO 2110
• 공중전화 교환망(PSTN)을 통한 DTE/DCE 접속 규격
• 주로 기계적 조건에 대한 규정
※ PSTN과 PSDN
① 공중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음성위주
② 공중 데이터 교환망(PSDN, Public Switched Data Network) : 데이터 위주
(2) RS-232C
1) 데이터 회선종단장치(신호변환장치, DCE)와 단말장치(터미널, DTE)사이의 접속규격
2) 25핀(PIN)으로 구성된 커넥터
3) 주요 핀의 기능
① DCD(Data Carrier Detect) : DCE가 선로 쪽으로부터 감지 할 수 있는 크기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음을 DTE에게 통보
② FG(Frame Ground) : 보호용 접지 회로
③ TXD(Transmitted Data) : 송신 데이터
④ RXD(Received Data) : 수신 데이터
⑤ RTS(Request To Send) : 송신 요청
⑥ CTS(Clear To Send) : 송신 준비 완료
⑦ DSR(Data Set Ready) : DCE 정상 상태
⑧ SG(Signal Ground) : 신호 접지
⑨ DTR(Data Terminal Ready) : DTE 정상 상태
⑩ RI(Ring Indicator) : 링 감지 신호
※ DTE와 DCE를 접속할 때 고려해야 할 특성
① 기계적 특성 : 접속 핀의 크기, 개수, 핀 사이의 간격 등에 관한 물리적 특성
② 전기적 특성 : 전압 레벨의 사용에 관한 특성
③ 기능적 특성 : 각 핀마다 설정할 기능에 대한 특성
④ 절차적 특성 : 신호의 전송 절차 등에 관한 특성
요점정리
1. 단말장치와 통신제어장치에 대해 정리합니다. 2. 신호변환장치에 대한 종류를 정리합니다. 다음차시예고
수고하셨습니다. 다음 3주차에서는 “다중화기 정보(데이터)전송 기술”에 대해서 학습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보처리기사 필기 무료강의 제5과목[DC-06강]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과 에러 (0) | 2019.07.04 |
---|---|
정보처리기사 필기 무료강의 제5과목[DC-05강] 신호변환과 전송 제어 방식의 개요 (0) | 2019.07.04 |
정보처리기사 필기 무료강의 제5과목[DC-04강] 정보(데이터) 전송매체와 전송방식 (0) | 2019.07.04 |
정보처리기사 필기 무료강의 제5과목[DC-03강] 다중화기, 정보(데이터) 전송의 개요 (0) | 2019.07.04 |
정보처리기사 필기 무료강의 제5과목[DC-01강] 정보(데이터) 통신의 개요와 학습전략 (0) | 2019.07.04 |